강소특구 발판.."동남권 최고수준의 기술사업화 명문대학으로 발돋움"
유메드는 인제대 박명찬 교수가 창업한 기업으로, 기술이전사업화에 선정되어 신의료기기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교원창업 성공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제대학교(총장 전민현)가 교수창업가 특히 의사창업가 배출에 있어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해가고 있다.

인제대는 2013년 12월 기준 총 29개의 교원창업기업이 출현했다. 이들 교원창업기업은 바이오헬스 12개, 헬스케어 IT 2개, 의료기기 8개, 교육 및 기타 7개 등으로 분포해 있다.

특히 눈에 띠는 분야는 ‘바이오이다. 인제대의 의사창업가는 부산백병원 등 4개 대학병원 소속 623명의 임상교원과 3767개의 보유병상을 바탕으로 등장한다. 보유 특허도 이를 입증한다. 산학협력단이 보유한 677건의 특허 중 제약바이오 105건, 의료기기 297건, IT기계 195건, 소재부품 80건이다.본격적인 의사창업가 출현은 2019년 경남김해강소특구사업으로 시작했다. 의생명 의료기기로 특화 한 강소특구사업단이 중심이 돼 바이오창업관련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하고 있다. 강소특구사업단은 연구소기업 R&BD, 기술이전 R&BD,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원 등을 통해 의생명 의료기기와 관련한 기술사업화 전주기를 지원하고 있다. 또, 관련한 대학재정지원사업 등을 통해 연 50억 원 규모를 기술 및 경영고도화에 투입한다. 특히 IP기반 투자조합 등 6개 투자클럽을 통해 총 496억 원 규모의 투자 재원도 확보중이다. 이렇듯 바이오에 특화된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다수의 교원창업가를 배출하고 있다.

인제대 교원 중 3년 이상 재직자는 창업신청이 가능하다. 특허 등 기술이전을 통한 기술창업자여야 하고, 창업교원은 해당학과 및 전공별 전임교원의 20%를 초과할 수 없다. 이러한 관련 규정을 거쳐 교수들은 창업 겸직이 허용된다.그중 ㈜티아이(대표 문성혁)가 있다. 문 대표는 부산백병원 안과 교수이다. 백내장 수술용 의료기기로 CES 2024에서 디지털 헬스 등 혁신상 3관왕을 차지했다. 티아이 제품은 올해부터 의료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아이키를 창업한 권영욱 대표는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교수로, 22년 부산을 대표하는 기술창업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스킴스바이오 김창근 대표는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이다. 천식 진단용 ‘호산구 유래 신경 독소’ 키트가 신의료기술로 등재되며 가능성을 입증했다.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승환 교수는 공대교수와 공동으로 정신질환 AI진단 스타트업 비웨이브 ㈜를 창업했다. 클라우드 펀딩으로 8억 원 투자를 유치했다.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에서 창업한 두 개 기업은 빠른 속도로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신재국 교수의 ㈜에스피메드와 박세광 교수가 창업한 ㈜넥스세라이다. 두 기업 모두 22년 하반기 아기유니콘기업으로 선정됐고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상태이다. 약물유전자 검사서비스와 점안형 치료제가 주 아이템이다.제이에이치바이오테크놀러지㈜는 보건의료융합대학 의용공학부 신정욱 교수가 창업했다. 방사선 우려없는 초음파를 이용한 치과용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해운대백병원에서는 재활의학과 최희은 교수가 팁스에 선정된 ㈜쉐어앤서비스를 창업했고, 비뇨의학과 박명찬 교수가 창업한 ㈜유메드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기술이전사업화에 선정돼 환자 스스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신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인제대 관계자는 “수년 내 동남권 최고의 기술사업화 명문대학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자신했다.